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30 문학_호메로스

by 사랑반어린이 2024. 9. 14.
반응형

 
 

030 문학_호메로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 담긴 이야기들은 오랫동안 서양 문화 속에 녹아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그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 트로이의 목마에서부터 외눈박이 거인 키클롭스까지 그리고 아킬레스의 뒤꿈치부터 선원을 홀리는 세이렌의 노래에 이르기까지 두 서사시의 구성요소들은 거의 3000년이 지는 오늘날에도 서양문학과 일상 언어의 기둥 역할을 하고 있다.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이야기들은 호메로스가 책으로 엮어내기 오래전부터 입으로 전해 내려온 그리스어 서사시다.

호메로스

 
 《일리아스》는 아킬레스, 아가멤논, 헥터 등 아카이아(그리스)와 트로이 사이에 벌어진 트로이 전쟁 영웅들의 위업을 이야기한다. 신화에 따르면 트로이 전쟁은 트로이의 파리스 왕자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 스파르타의 헬레나를 납치하고 아내로 삼기 위해 트로이로 데려오면서 시작되었다. 트로이 전쟁이 9년째로 접어들던 해, 아카이아의 전사 아킬레스가 느끼는 분노에 초점을 두고 이 영웅에게 공존하는  위대함과 치명적 약점에 대해 탐구한다. 이야기를 전개하면서 호메로스는 "장밋빛 손가락을 가진 새벽" "검은 포도주 빛 바다" 같은 시적 이미지를 불러일으키는 표현을 사용했다.  《일리아스》가 유명한 것도 이런 표현 때문이다.
 
 《일리아스》의 속편 《오디세이아》는 그리스 영웅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이 끝난 후 아내 페넬로페가 있는 고향으로 돌아가는 항해에서 걲는 시련을 그린 서사시이다. 오디세우스가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노하게 했기 때문에 그의 귀향 여정은 10년이 걸린다. 포세이돈은 자신이 힘쓸 수 있는 한 모든 것을 동원해서 오디세우스의 항해를 방해한다. 오디세우스는 지혜를 발휘하고 아테나 여신의 도움을 받아 마침내 고향 이타카로 돌아온다. 그리고 지조를 지키고 있던 아내에게 달려든 수많은 구혼자들을 처리한다.
 
저자가 누구인지에 관계없이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는 고대 그리스인의 문화와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두 시를 모두 암송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기원전 100년대에 들어 그리스의 황금기는 쇠퇴했지만 호메로스의 작품은 계속해서 영향력을 발휘했고,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와 같은 고대 로마의 서사시에도 영감을 줬다.
 

트로이 전쟁은 오랫동안 단순한 전설이라고 믿어져 왔지만 1800년대 후반 터키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증거는 이 전쟁이 실제 역사적 사건일지 모른다고 암시한다.

 

트로이의 헬레나를 "천 대의 배를 출정하게 하는 얼굴"이라고 묘사한 유명한 말은  《일리아스》가 아닌 크리스토퍼 말로의 희곡  《파우스트 박사》(1604년)에 나오는 구절이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2024.09.12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29 역사_율리우스 카이사르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29 역사_율리우스 카이사르

029 역사_율리우스 카이사르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100-44년)는 기원전 1세기 지금의 프랑스, 벨기에, 독일 서부를 정복한 로마 장군이었다. 폼페이우스가 이끌던 로마 원로원은 카이사르의

children422.tistory.com

2024.09.12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28 종교_아브라함과 이삭 그리고 야곱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28 종교_아브라함과 이삭 그리고 야곱

028 종교_아브라함과 이삭 그리고 야곱아브라함은 유일신 종교의 창시자라 할 수 있다. 아브라함이 사라와 사이에서 낳은 미삭과 하갈과 사이에서 낳은 이스마엘 그리고 그들의 후손들이 각

children422.tistory.com

2024.09.11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27 철학_이데아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27 철학_이데아

027 철학_이데아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아름다운 것을 생각해 보자.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그것들이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으로 설명되는가? 플라톤(기원전 427-347년)에 따르면 이 질문의 답은 아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