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회복 대화법
아이와 진심으로 통하고 싶으신가요? 마음이 '도착'하는 대화의 중요성!
아이와의 관계, 정말 쉽지 않으시죠? 김종원 작가는 수천 명 상담을 통해 부모-자녀 관계 회복의 핵심은 아이의 마음이 '도착'한 말, 즉 아이의 마음을 제대로 헤아리는 대화에 있다고 말합니다. 아이의 말에 귀 기울이고, 그 말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죠. 예를 들어, 아이가 짜증을 낸다면 "왜 짜증 내니?"라고 다그치기보다 "무슨 일이 있었니? 속상한 일이 있었구나."와 같이 아이의 감정을 먼저 알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과에만 집중하는 것보다 아이의 '과정'에 주목하고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시험을 못 봤을 때, "왜 이렇게 못 봤어?"라고 혼내기보다는 "이번 시험 준비하느라 정말 고생했어. 다음에 더 잘 볼 수 있을 거야."와 같이 노력한 과정을 칭찬해 주는 것이 아이에게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어떤 말을 했을 때, 그 말이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1. 대화의 중요성
● 부모와 자녀 간의 대화는 매우 중요함.
● 대화는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법임.
2. 철학의 역할
● 철학은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줌.
● 예를 들어, "사랑"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설명할 때, 단순히 "사랑해야 한다"는 말로는 부족함.
● 아이들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함.
4. 부모의 언어
● 부모는 아이에게 결과를 묻기보다는 과정에 대해 질문해야 함.
● 예를 들어, "다 읽었어?" 대신 "어디에서 멈췄니?"라고 물어야 함.
● 이는 아이가 생각할 기회를 제공함.
- 불행은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는 사람만을 골라 괴롭히며, 이는 자신이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다는 증거로, 이를 통해 긍정적인 자기 인식을 가져야 한다.
- 부모는 자녀에게 필요한 메시지를 전달할 때, 아이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는 과정의 언어를 사용해야 하며, 결과적인 질문은 아이의 생각을 제한시킬 수 있다.
- "다 읽었어?"와 같은 질문 대신, "어디에서 멈췄니?"와 같은 확인을 통해 자녀가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자녀에게 인상 깊은 부분을 물어보면, 그 순간에 대한 생각과 기억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는 아이의 사고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5. 독서의 접근법
● 아이가 책을 읽을 때, 모든 내용을 다 읽을 필요는 없음.
● 인상 깊은 장면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그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유도해야 함.
● 이를 통해 아이는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표현할 수 있음.
- 일상 속에서 질문을 던져 대화를 나누는 것은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 회복에 중요한 요소인 3단계 대화법의 기초가 된다.
6. 신문과 광고 활용
● 신문을 통해 다양한 주제를 접하고, 헤드라인만 보고 인상 깊은 기사를 선택하도록 함.
● 광고를 통해 간결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음.
- 신문을 통해 넓은 시각을 확보하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찰을 얻는 것이 정보 탐색의 유효한 방법이다.
- 광고는 매출에 담긴 기업의 마음을 나타내며, 중소기업의 카피는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담고 있어 가치가 크다.
- 부모는 자녀에게 신문 기사를 읽고 인상 깊었던 부분을 논리적으로 나누도록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7. 사랑의 표현
● 사랑은 단순히 말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함.
● 예를 들어, 아이가 아플 때 부모가 달려가는 모습은 사랑의 표현임.
● 이러한 경험이 아이에게 큰 힘이 될 수 있음.
- 부모가 자녀에게 사랑을 표현하려면, 직접적인 표현보다 자녀가 느낄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 자녀가 스마트폰을 18시간 동안 사용하는 상황에서, 부모가 책을 선물하여 생각할 기회를 주었고, 그 결과 자녀가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 부모가 자녀와의 대화에서 본인의 경험을 감정적으로 연결시키면, 자녀에게 힘이 되고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빠른 달리기를 이야기하며 자녀가 힘든 시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이다.
8. 공감의 중요성
● 아이의 경험에 공감하는 것이 중요함.
● 부모가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함께 느끼는 것이 필요함.
- 대화에서 공감과 동감의 차이를 이해하고, 자녀의 이야기에 참여하여 함께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 부모가 전하는 메시지는 직접적이지 않더라도 자녀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모의 사랑을 더욱 구체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9. 철학적 메시지의 필요성
● 철학적 메시지를 통해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답을 제공해야 함.
● 부모가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 부모는 아이가 하는 말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이해하고, 그 말의 배경을 알아챌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 철학은 사랑, 희망, 행복의 자기 해석을 가지게 해주어 중요하며, 삶 전체를 고민하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아이생활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교학점제 시행 두 달 만에 벌어진 변화와 문제점 (5) | 2025.05.10 |
---|---|
진짜 나는 행복한 사람인가, 단순한 삶의 중요성 (6) | 2025.04.30 |
공부는 과연 의지의 문제일까 (7) | 2025.04.24 |
초중고 사교육 현황, 아이들에게 얼마나 투자하고 계신가요 (7) | 2025.04.23 |
부모 대화법, 부모가 아이에게 현명하게 말하고 대화하는 방법 (6)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