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14 문학_베오울프

by 사랑반어린이 2024. 12. 7.
반응형

 

 

114 문학_베오울프

8세기에 쓰인 작자 미상의 <베오울프)는 위대한 영웅의 이야기를 노래한 고대 영어 서사시다. 학자들은 <베오울프>를 통해 영어 발달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이교도 전통과 기독교가 혼합된 중세 초기 북유럽의 특징을 보여준다.

베오울프 첫 페이지

 

<베오울프>는 6세기 덴마크 왕흐로드가르가 여는 연회장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여러 해 동안 그렌델이라는 괴물이 밤에 흐로드가르 궁전으로 침입해 들어와 군사들을 집어삼키고 사람들을 공포에 빠뜨렸다. 스웨덴 남부 기트랜드의 젊은 왕자 베오울프는 병사를 이끌고 나타나 그 괴물을 처치한다. 그러나 그렌델 만큼이나 무서운 그렌델의 어미가 아들의 원수를 갚겠다고 나타난다. 베오울프는 그녀의 은신처까지 추적해 그녀도 칼로 베어 없앤다. 왕국으로 돌아오자 영웅 베오울프는 왕으로 추대되어 50년 동안 통치하다가 용으로부터 백성들을 지키기 위해 싸우며 죽음을 맞는다.

 

<베오울프>의 주제는 전통적인 게르만 전사의 법도와 당시 북유럽 문화에서 비교적 새로운 기독교적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여러 세대에 구전된 본래의 베오울프 전설은힘과 용맹, 충성심, 복수를 아름답게 그린 것이었다. <베오울프>를 글로 옮긴 시인은 그런 게르만 전사 이야기에 겸손함과 용서라는 기독교적 주제를 포함시키려 한다. 두 요소는 때때로 서로 조화되지 않고 삐걱거리기도 한다.

 

<베오울프>는 중세 영어와 현대 영어의 전신이자 독일어와 매우 비슷한 고대 영어로 쓰였다. 고대 동기는 현대 등이 번역본이 없으면 읽을수없다. 고대 영어로 쓰인 대부분의 시와 마찬가지로 <베오울프>는 복잡한 두운법을 사용한다. 음유시인들이 수천에 이르는 행을 쉽게 암송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였다. 게다가 시적 묘사에 책을 더하는 짧은 서술적 은유법인 한국 대침법을 집중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바다를 '고래의 길'이라 묘사하고 왕을 가리켜 '반지 수여자'라고 묘사했다.

 

<베오울프>가 1800년대까지 사람들 기억에서 거의 사라졌다는 역사적 사실을 보면 이 작품이 영문학 발달에 미친 영향력은 종종 과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베오울프>가 문학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소중한 문헌임은 분명하다. 20세기에 다시 유명해진 이 시는 W.H. 오든부터 J.R.R. 돌킨에 이르는 여러 시인과 소설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현존하는 <베오울프> 원고는 단 한 부뿐이다. 서기 100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필사본은 1731년 화재
로 심하게 손상되었는데, 지금은 런던에 있는 영국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2024.12.05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13 역사_마틴 루터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13 역사_마틴 루터

113 역사_마틴 루터 "나는 어떤 것도 철회할 수 없고 철회하지도 않겠습니다. 양심을 거슬러 행하는 것은 옳지도 않고 안전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마틴 루터 서기 1500년경에 이르자 유럽의 거

children422.tistory.com

2024.12.04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12 종교_산상수훈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12 종교_산상수훈

112 종교_산상수훈산상수훈은 서기 30년 경 갈릴리 산비탈에서 예수가 군중에게 한 유명한 설교로 산상설교라고도 한다. 예수의 중요한 가르침을 나타내며 마태복음에 기록되어 있다. 설교를

children422.tistory.com

2024.12.03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11 철학_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11 철학_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111 철학_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세상에 알려진 가장 유명한 철학적 명제는 르네 데카르트(1596년-1650년)의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일 것이다. 이 말을 데카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