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 철학_귀납법
과거에 그래왔던 것을 가지고 항상 그렇다거나 앞으로 그럴 것이라는 결론을 끌어내는 추론을 할 때 우리는 귀납적 추론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과거에 해가 항상 떴기 때문에 내일도 해가 뜰 것이라 믿는다. 또 여태 봐온 책들 모두 페이지가 있었기 때문에 모든 책에는 페이지가 있다고 믿는다. 우리가 세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믿음은 귀납적 추론을 바탕으로 한다.
귀납법은 연역적 추론만큼 확실하지 않다.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는 사람이고 모든 사람은 죽는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라고 결론 내리는 것이 연역적 추론이다. 이 예의 경우, 두 가지 사실로 인해 결론이 참이 된다. 그러나 귀납법에서는 과거의 사실이 미래를 결정하지 않는다. 매일 하늘에 뜨던 태양이 폭발해 버릴 수도 있고 다른 이유로 뜨지 못할 수도 있다.
귀납적 추론을 사용할 때 우리는 증거가 결론을 수반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귀납적 추론은 분명 결론을 개연성 있게 만든다. 물론 "미래가 십중팔구 과거와 같을 것이라고 가정할 만한 타당한 근거는 무엇인가?"라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데이비드 흄(1711년-1776년)이 처음으로 귀납법의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귀납적 추론이 참인 결론에 이르게 할 것이라 생각할 만한 이유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1950년대에 철학자 넬슨 굿맨(1906년-1998년)은 그의 표현을 빌려 '귀납법의 새로운 수수께끼'라는 문제를 제기했다. "사물의 어떤 특징은 귀납적 추론의 타당한 근거가 되고, 어떤 특징은 되지 못하는가?"라는 문제이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8 음악_엑토르 베를리오즈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8 음악_엑토르 베를리오즈
208 음악_엑토르 베를리오즈극단적인 낭만주의자 엑토르 베를리오즈(1803년-1869년)는 자기중심적이고 끊임없이 사랑에 빠졌다. 파란만장한 그의 삶은 그 자신이 만든 음악에 완벽하게 걸맞았다.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7 과학_혈액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7 과학_혈액
207 과학_혈액보통의 성인의 경우 대략 5리터의 혈액이 혈관을 따라 흐른다. 혈액이란 정확히 무억인가? 혈액은 신체의 생존을 돕는 네 가지 필수요소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으로 구성되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6 미술_폴 세잔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6 미술_폴 세잔
206 미술_폴 세잔폴 세잔(1839년-1906년)은 후기인상주의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세잔의 풍경화와 정물화는 20세기 초 입체파와 야수파가 탄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의 부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11 역사_앤드류 잭슨 (15) | 2025.04.02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10 종교_코란 (13) | 2025.04.01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8 음악_엑토르 베를리오즈 (13) | 2025.03.30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7 과학_혈액 (6) | 2025.03.2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6 미술_폴 세잔 (14)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