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8 역사_함무라비 법전
함무라비는 오늘날의 이란에 세워진 고대 바빌로니아의 왕이다. 기원전 1792년부터 기원전 1750년까지 바빌로니아를 통치했고 여러 경쟁 국가를 정복했다. 하지만 역사 최초의 법률가로서 더 유명하다. 통치 말기 함무라비는 기록 역사상 최초의 법전을 만들었다. 그 법은 국민이 지켜야할 법칙과 법을 어긴 사람에 대한 처별을 상세히 기술했다. 그때만 하더라도 대부분 절대 권력의 통치자가 기분에따라 통치하던 시대였으므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법이라는 것은 듣도 보도 못한 새로운 개념이었다.
함무라비 법은 오늘날의 기준에서 보면 매우 잔인하기 그지없다. 함무라비 왕은 아주 가벼운 위반 행위에 대해서도 사형을 지시했다. 술집에 출입한 여자, 도망가는 노예를 숨겨준 사람, 합당한 명분 없이 남편을 떠난 아내 모두가 사형 대상이었다. 조잡하기 그지없던 법은 고대 사회의 미신까지 반영하고 있었다. 시민끼리 분쟁이 발생하면 피고소인에게 강에 뛰어들도록 했다. 유죄이면 물에 빠져 죽을 것이고, 무죄이면 무사히 빠져나온다는 것이다. 그리고 피고소인이 무사히 나오면 고소인은 무고죄로 사형에 처해졌다.
함무라비 왕은 일반 대중들이 볼 수 있도록 법의 내용을 정의의 신에게 바쳐진 검은 돌기둥에 새기게 했다. 기둥에 새긴 법문에서 '미래의 모든 세대'가 법을 준수하고 '내가 지시한 이 땅의 법을 변경하지 말 것'을 요구했고 후세의 왕들이 기분에 따라 충동적으로 통치하기 보다 법치주의를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을 다스리는 법을 통치자가 임의대로 바꿀 수 없다는 생각은 혁신적이었다. 오늘날에도 법치주의를 지키는 것은 성공한 정부의 기본 특징이다.
함무라비 법이 새겨진 돌기둥은 1901년 프랑스의 한 고고학자에 의해 발굴되었고 현재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함무라비 법은 중동지역 대부분의 고대 문명에서 사용한 복잡한 문자 체계인 설형문자로 새겨져 있다. 설형문자는 1835년이 되어서야 해독할 수 있었다.
바빌로니아 과학자들은 60진법 수 체계를 사용했다. 1분이 60초인 까닭이 여기에 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 365]007 종교_토라
007 종교_토라토라 Torah는 일반적으로 히브리 성경의 첫 다섯 편을 가리키며, 모세 5경이라고도 한다. 기독교인들은 토라와 다른 유대교 문서를 묶어 구약성경이라 부른다. 토라는 구전으로 전해
children422.tistory.com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6 철학_겉모습과 실체
006 철학_겉모습과 실체겉모습과 실체를 구별하는 것은 시대를 막론하고 중요한 철학적 주제였다. 소크라테스(기원전 469-399년) 이전 철학자들은 겉모습과 실체를 구별하는 것은 사상의 중심으로
children422.tistory.com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5 음악_음악의 기본 요소
005 음악_음악의 기본 요소음악은 모방이나 기보법(악보에 음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다시 재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소리를 말한다. 문이 열릴 때 삐걱거리는 소리나 손톱으로 칠판을 긁을 때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37) | 2024.08.25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50) | 2024.08.24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7 종교_토라 (29) | 2024.08.22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6 철학_겉모습과 실체 (61) | 2024.08.21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5 음악_음악의 기본 요소 (19)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