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by 사랑반어린이 2024. 8. 24.
반응형

 
 

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20세기 주요 미국 작가 가운데 어니스트 헤밍웨이(1899년-1961년)만큼 영향력 있는 데다 많은 사람의 추종을 받으며 동시에 비난을 많이 받은 작가도 없다. 헤밍웨이는 생전에도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에 관해 떠도는 일화가 매우 많기 때문에 어느 것이 사실이고 어느 것이 전설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헤밍웨이는 일찍부터 작가가 되고픈 꿈을 품고 있었다. 18살 무렵 기자로 몇 달 동안 활동하다가 제1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이탈리아 전선 적십자 구급차 운전사로 일했다. 그때 부상을 크게 입었다. 전쟁이 끝난 후 헤밍웨이는 거트루스 스타인과 전쟁의 잔인함에 환멸을 느낀 이른바 '잃어버린 세대 Lost Generations' 작가들과 함께 파리에서 몇 년을 보냈다. 그곳에서 자신의 트레이드마크가 되는 문체를 다듬었다. 겉으로 보이는 간결함 속에 숨겨진 반복적이고 절제되고 자의식적인 남성적 산문체가 그것이다.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태양은-다시-떠오른다

 
헤밍웨이는 미시건 북부에서 보낸 유년기의 여름과 나중에 유럽을 여행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수 편의 단편소설을 썼고, 1926년 첫 주요 장편소설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를 발표했다. 사회에 불만을 품은 미국인 젊은이가 스페인과 프랑스에서 여유로이 시간을 보내며 겪는 사건을 다룬 이 소설은 즉각적인 찬사를 불러일으켰다. 1929년에는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미국인 구급차 운전사와 영국인 간호사의 비극적 연애를 그린 《무기여 잘 있거라》를, 1940년에는 종군기자로 참가했던 실제 경험에서 영감을 얻어 집필한 스페인 내전 게릴라에 대한 이야기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발표했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의 주인공은 이른바 '헤밍웨이 특유의 규범적 주인공'이다. 즉 주인공은 세상에 환멸을 느끼고 절제된 삶을 살면서 폭력이나 역경에 처했을 때 품위와 고결함을 보여주는 남성이다.
 
이름이 알려지면서 헤밍웨이는 전쟁, 투우, 사냥, 대어 낚시 등 한눈에도 남성적인 주제를 다루는 작가로 명성을 다져나갔다. 헤밍웨이는 작품에 대해 남성다움을 꾸민 가식이라고 말하는 비평가도 더러 있었지만 《노인과 바다》(1952년)에서 보여준 부인할 수 없이 능수능란한 이야기 전개로 헤밍웨이는 1954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그러나 작가로서 최고의 명예를 얻었음에도 말년에는 우울증과 건강 악화에 시달렸고 결국 1961년 권총으로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하지만 현대 소설 문체에 미친 헤밍웨이의 영향력은 그야말로 절대적이다.

노인과 바다
노인과-바다

 
《노인과 바다》는 1952년에 쓰였으며 낚시가 취미였던 저자의 해박한 지식이 배경이다. 1953년 픽션 부문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하였다. 어부인 산티아고가 커다란 청새치를 낚시로 잡지만, 항구로 돌아오는 길에 모두 장완흉상어들에게 빼앗긴 실패와 사자꿈을 꾸는 희망을 담고 있다. 특히 마지막 큰 물고기와의 결투는 인간의 열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 365]008 역사_함무라비 법전

008 역사_함무라비 법전함무라비는 오늘날의 이란에 세워진 고대 바빌로니아의 왕이다. 기원전 1792년부터 기원전 1750년까지 바빌로니아를 통치했고 여러 경쟁 국가를 정복했다. 하지만 역사 최

children422.tistory.com

 

[1일 1페이지, 교양수업 365]007 종교_토라

007 종교_토라토라 Torah는 일반적으로 히브리 성경의 첫 다섯 편을 가리키며, 모세 5경이라고도 한다. 기독교인들은 토라와 다른 유대교 문서를 묶어 구약성경이라 부른다. 토라는 구전으로 전해

children422.tistory.com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6 철학_겉모습과 실체

006 철학_겉모습과 실체겉모습과 실체를 구별하는 것은 시대를 막론하고 중요한 철학적 주제였다. 소크라테스(기원전 469-399년) 이전 철학자들은 겉모습과 실체를 구별하는 것은 사상의 중심으로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