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6 문학_할렘 르네상스
'뉴 니그로 운동'이라고도 불리는 할렘 르네상스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1920년 때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뉴욕 할렘 지역에서 일어난 흑인 문예부흥을 말한다. 1800년대 가혹한 노예로서의 삶과 남북전쟁, 전후 재건시대를 견뎌내고 새로이 자유를 얻은 미국 남부의 흑인들은 뉴욕과 다른 북부 도시로 대거 이주했다. 이른바 '대이동'이라 불리는 그 사전이 할렘 르네상스의 기반이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가난하지만 문화적으로 생기 넘치는 흑인 공동체가 할렘에 뿌리를 내렸다.
할렘 르네상스의 기틀은 상당 부분 미국 흑인 역사학자이자 사회이론가인 윌리엄 듀보이스에 의해 다져졌다. 듀보이스는 1903년 사회 문제를 다룬 논저 《흑인의 영혼》을 발표하고 1909년에는 전미유색인종협회 NAACP를 창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따. 그는 새로운 의미의 흑인 문화 의식과 자부심을 주장하면서 젊은 세대 작가와 예술가들에게 흑인 고유의 목소리를 만들도록 영감을 불어넣었다.
할렘 르네상스를 이끈 주요 작가 중 한 명이 제임스 웰든 존슨이다. 그는 《전(前) 유색인의 자서전》(1912년)과 유명한 설교집 《신의 트럼본》을 집필했다. 존슨의 뒤를 이어 넬라 라슨과 조라 닐 허스턴은 각각 소설 《패싱》(1929년)과 《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1937년)을 발표했는데, 미국 흑인 여성이 쓴 문학 작품 최초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할렘 르네상스 시대에는 특히 시가 많이 창작되었다. 이 운동에 동참했던 컬렌 같은 시인들은 전통적인 형식에 의존해 시를 썼고, 랭스턴 휴스 같은 시인들은 새로 생긴 재즈 음악의 리듬을 작품에 접목시켰다. 할렘 르네상스에서 음악과 문학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고, 두 분야의 주요 인물들은 할렘 문예부흥 운동이 벌어지는 내내 서로 영감을 주고받았다.
1930년에 대공황이 뉴욕의 흑인 사회를 강타하면서 할렘 르네상스는 내리막길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그 후에도 계속해서 새로운 형식과 주제가 개척됨으로써 랠프 엘인 소설가 와 시인, 극작가들을 위한 길이 다져졌다.
할렘 르네상스 시대는 파머 하이든, 로이스 멜로우 존스, 윌리엄 존슨 등 저명한 흑인 화가도 많이 배출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2024.08.28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5 역사_스파르타 대 아테네: 고대 사회 패권 다툼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5 역사_스파르타 대 아테네: 고대 사회 패권 다툼
015 역사_스파르타 대 아테네: 고대 사회 패권 다툼그리스 남부의 거친 산악지대에 자리 잡은 작은 도시 국가 스파르타는 고대 사회에서 가장 무서운 군사력을 자랑했다. 태어나면서부터 엄
children422.tistory.com
2024.08.28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4 종교_노아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4 종교_노아
014 종교_노아노아는 구약성경 창세기의 홍수 이야기에 나오는 놀라운 인물이다. 창세기에 따르면 신은 세상 만물을 살피다가 인간이 저지른 죄에 화가 났다. 인간을 창조한 것을 후회하며 모두
children422.tistory.com
2024.08.28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3 철학_소크라테스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3 철학_소크라테스
013 철학_소크라테스서양 철학의 아버지라 여겨지는 소크라테스(기원전 470-399년)는 단 한 권의 책도 쓰지 않았다. 우리는 다른 사람이 쓴 글에 관한 글을 통해 산접적으로만 그를 알고 있다.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8 과학_ 태양계 (14) | 2024.09.02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7 미술_파르테논 신전 (24) | 2024.09.01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5 역사_스파르타 대 아테네: 고대 사회 패권 다툼 (41) | 2024.08.30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4 종교_노아 (31) | 2024.08.29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3 철학_소크라테스 (40) | 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