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 음악_루트비히 판 베토벤
역사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년-1827년)을 여러 모습으로 평가한다.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의 다리였고 극심한 고통에 시달린 천재였으며, 때로는 모든 시대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같은 찬사가 쏟아지는 바흐나 모차르트와는 달리 베토벤은 그의 재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관습에서 탈피하며 대담한 시도를 했다. 베토벤이 남긴 최종 유산은 그가 서양음악 최초의 위대한 음악인이라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작곡한 모든 작품 속에 그리고 그의 음악을 듣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과 영혼 속에 그 자신을 새겨 넣었다.
베토벤은 성인이 되고 나서 췌장염과 간경변증 같은 고통스러운 내과 질환에 시달렸다. 1800년 무렵에는 작곡가로서 가장 끔찍한 일은 마주해야만 했다. 청력을 잃는 것이었다. 그러나 절망하지 않고 두 배로 열심히 작곡에 매달렸고, 더는 고객들의 변덕 때문에 불타오르는 창작 욕구를 억누르지 않았다. 한 편지에서 베토벤은 "내 가슴속에 담긴 것은 표출되어야 한다. 그래서 나는 그것을 적는다."라고 썼다.
베토벤의 음악은 세 단계를 거쳤다. 첫째 단계는 처음 작곡한 빈 고전과 교향곡 두 곡을 포함해 하이든의 음악과 비슷하게 들리는 곡들을 작곡한 시기다. 이 시기 마지막곡은 기념비적인 교향곡 3번 <영웅>(1804년)이다. 원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헌정하기 위해 만든 곡으로 웅장하고 무거운 피날레를 가미해 고전 교향곡의 경계를 넓혔다. 빈에서 그 같은 음악은 기존에 없었다. 이른바 "영웅의 시대"라 불리는 둘째 단계에서는 오페라 <피델리오>와 여러 편의 놀라운 피아노 협주곡 그리고 바이올린 협주곡 한 편 등 걸작을 작곡했다.
L. V. BEETHOVEN _ "Eroica" / PFO with Tomo Keller
베토벤 교향곡 3번 "영웅(에로이카)"
출처: 유튜브 <MPyC TV 대관령음악제>
1810년경에 시작된 마지막 단계는 베토벤이 점점 외부 세계와 단절하게 되는 시기이다. 그는 외로웠고 끊임없이 사랑에 빠졌다. 그리고 점점 악화되는 건강 상태와 청력 상실 때문에 절망감에 휩싸였다. 결국 1827년 빈에서 친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베토벤은 세상과 작별했다.
독일 본의 궁정 가수였던 베토벤의 아버지는 폭력적인 알코올 중독자였다. 베토벤이 어렸을 적에 아버지는 아들을 모차르트 같은 신동으로 만들기 위해 방에 가두고 하프시코드를 몇 시간 동안 연습시켰다.
1802년 하일리겐슈타트에서 썼다고 해서 '하일리겐슈타트 유서'라 불리는, 형에게 쓴 편지에서 베토벤은 화려하면서도 난해한 언어로 자신이 끝없는 절망 상태에 살았고, 만약 음악에 대한 사랑과 삶에 대한 열정이 없었다면 분명 자살했을 것이라고 고백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2 과학_번식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2 과학_번식
172 과학_번식동식물의 주요 번식 방법으로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위험성이 더 높고, 다른 하나는 에너지가 더 많이 든다. 무성생식은 암수 구분 없이 부모 하나만 필요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1 미술_프란시스코 고야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1 미술_프란시스코 고야
171 미술_프란시스코 고야스페인 푸엔데토도스에서 태어난 프란시스코 호세 데 고야 이 루시엔테스(1746년-1828년)는 스페인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화가이며 동시에 근대 표현주의의 선구자였다.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0 문학_버지니아 울프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0 문학_버지니아 울프
170 문학_버지니아 울프영국의 소설가이자 문학비평가 버지니아 울프(1882년-1941년)는 가장 영향력 있는 모더니즘 작가 중 한 명이다. 제임스 조이스, 윌리엄 포크너 등과 함께 혁신적인 서술 기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2) | 2025.02.06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4 철학_자유주의 (12) | 2025.02.0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2 과학_번식 (17) | 2025.02.03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1 미술_프란시스코 고야 (17) | 2025.02.02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0 문학_버지니아 울프 (14)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