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 문학_가지 않은 길
노랗게 물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
애석하게도 두 길을 다 가볼 수는 없었다
몸이 하나이기에. 한참을 서서
한쪽 길을 다라 되도록 멀리 바라보았다
길이 덤불 속으로 휘어지는 곳까지
그러다가 다른 길을 택했다. 똑같이 아름답고
어쩌면 더 나은 듯한
풀이 무성하고 사람의 발길을 원하는 길이었기에
사람 발길로 닳은 건
두 길이 정말 비슷하기는 했지만
그리고 그날 아침 두 길은 아무 발자국도
찍히지 않은 낙엽에 덮인 채 독같이 놓여 있었다
아, 한쪽 길은 다른 날을 위해 남겨두었다!
길이 어떻게 길로 계속 이어지는지 알기에
과연 다시 돌아올 수 있을지 의심하면서도
나는 먼 훗날 어디에선가
한숨지으며 이 이야기를 하고 있겠지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고.
그리고 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선택했고,
그것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고
1916년 발표된 로버트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만큼 자주 인용되고 또 그만큼 잘못 이해되는 시도 없을 것이다. 독자들은 열이면 열 모두 시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돌자들은 이 시가 자유의지에 화자의 신념을 보여주는 희망적인 증명이고, 관습을 거부하고 '사람들이 덜 다닌'길을 선택하라는 고무적인 외침이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러나 자세히 읽어보면 이 시는 프로스트의 유명한 반어적 체념으로 가득 차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프로스트는 시에 반어적 체념을 담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시에서 가장 간과되는 것은 화자가 길을 선택할 때 완전히 임의적으로 결정했다는 점이다. 두 갈래 길에 서서 선택하는 모습을 묘사할 때 화자는 두 길이 본질적으로 같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강조한다. 한 길은 다른 길만큼 "아름다워"보인다. 그리고 화자가 그 두 길을 구별하고 싶은 욕망이 있음에도 그는 "사람 발길로 갏은 건 두 길이 정말 비슷하다."고 인정한다. 그는 순간적인 기분에 하나를 선택한 것이다.
마지막 연에서 프로스트는 고유의 뒤틀린 유머를 도입하고 있다. 화자는 "먼 훗날"노인이 되어 회상할 때 아마 "한숨지으며" 이 이야기를 다시 하면서 정통적이지 않은 길, 곧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용감하게 갔다고 주장할 것이라고 인정한다. 그러나 그런 주장은 틀린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화자는 사람들이 덜 다닌 딜은 처음부터 없었다면서 그의 선택이 전적으로 임의적인 것이었음을 말하며 끝낸다. 두 길은 "아무 발자국도 찍히지 않은 낙엽에 덮인 채 똑같이 놓여 있었다." 프로스트는 인간들이 자신에 대해 과장하고 삶의 불확실성을 미화할 뿐만 아니라 인생이란 좋은 길과 나쁜 길 사이를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의 연속이라고 보는 데서 위안을 얻는 성향이 있음을 시인한다. 그러나 프로스트가 궁극적으로 말하려고 하는 것은 우리는 현실에서 어느 길이 최선인지 알 수 없고, 우리의 선택이 그만큼 무작위적이고 무지한 추측이라는 것이다.
프로스트는 독자들이 대부분 <가지 않은 길>을 오해할 것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유명한 강연에서 청중들에게 "그 시를 읽을 때 조심해야 합니다. 정말 까다로운 시예요. 아주 까다롭습니다."라고 말했다.
프로스트는 매우 늦게 등단했다. 첫 시집 《소년의 의지》는 거의 40세가 되어서야 출간되었다. 그는 1874년에 출생해서 1963년에 사망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프로스트의 시를 대단히 높이 평가했으며, 1961년 그의 대통령 취임식에서 프로스트는 시 《아낌없이 주는 선물》을 낭송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3 역사_토머스 제퍼슨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3 역사_토머스 제퍼슨
183 역사_토머스 제퍼슨"힘으로 권리를 바꿀 수는 없다."-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제퍼슨(1743년-1826년)은 미국 대통력이자 미국 독립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물 중 한 명이다. 1776년 독립선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2 종교_종교개혁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2 종교_종교개혁
182 종교_종교개혁16세기 초 유럽의 많은 지역이 로마 가톨릭교회에 불만을 품게 된 후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일어났다. 독일의 대학 교수이자 설교자였던 마틴 루터는 종교 문헌을 심도 있게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1 철학_사회계약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1 철학_사회계약
181 철학_사회계약사회계약은 정치 제도의 기원과 적법성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정치철학 개념이다. 사회계약의 기본 개념은 가상의 어느 과거 시점에 인간 사회에는 정부도 법도 없었다는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6 과학_전자기파 스펙트럼 (7) | 2025.02.18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5 미술_인상주의 (11) | 2025.02.17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3 역사_토머스 제퍼슨 (19) | 2025.02.14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2 종교_종교개혁 (11) | 2025.02.13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81 철학_사회계약 (19)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