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철학_관념론
철학에서 관념론자는 실체가 정신에 달려 있다고 믿는 사람이다. 어떤 것이 정신에 달려 있다는 말은 그것을 생각해 낸 정신이 없다면 그것 또한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혁명적인 관점이다. 보통 우리는 사물들의 세계가 있고, 그 사물에 대한 우리의 관념과 독립적으로 사물이 존재하는 방식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고 그 생각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조지 버클리(1685년-1753년) 같은 관념론자들은 인간의 지각으로부터 독립된 사물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그것을 생각하고 있지 않을 때만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념론으로 임마누엘 칸트(1724년-1804년)와 아르투르 쇼펜하우어(1788년-1860년_가 채택한 선험적 관념론이 있다.
칸트는 인간의 정신에 의존하지 않고도 존재하는 것이 있다고 말했다. 그것을 칸트는 '물자체 things in thermselves'라고 불렀다. 그는 우리가 실제로 경험하는 대상은 물자체가 아니라 그것의 겉모습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 겉모습은 우리의 정신 속에만 존재한다. 쇼펜하우어는 칸트의 구별을 받아들였지만 물자체가 여러 개 존재한다는 것은 인정하지 않았다. 쇼펜하우어가 생각하는 실체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획일적인 의지, 즉, 맹목적이고 무엇인가를 얻으려고 애쓰는 힘이다. 이 의지는 시간과 공간 속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사물들의 세계로서 우리에게 나타난다.
현대 철학에서 관념론은 대상의 존재보다 대상이 지닌 특정 성질과 관련해서 더 자주 받아들여진다. 그러므로 많은 현대 철학자들은 도덕적 선이나 아름다움과 같은 가치들이 정신에 종속되며 세상의 사물들은 오로지 우리가 그것들이 가치 있다고 믿기 때문에 가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가치에 대해 사실주의적 관점을 지닌 철학자들은 우리가 가치를 경험하든 안 하든 상관없이 세상에는 실질적인 도덕적 선과 도덕적 악, 아름다움과 추함 등등이 있다고 주장한다.
학자들은 철학의 역사가 사실주의자와 관념론자 사이의 오랜 논쟁의 역사라고 말하곤 한다. 철학의 계보를 따지자면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년)는 최초의 사실주의자이고, 플라톤(기원전 427-347년_은 최초의 관념론자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이것을 받아들이는 철학 역사학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쇼펜하우어는 자신의 선험적 관념론은 힌두교의 철학과 문학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4 음악_프란츠 슈베르트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4 음악_프란츠 슈베르트
194 음악_프란츠 슈베르트1827년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장례식에서 프란츠 슈베르트(1797년-1828년)가 애도의 횃불을 들었다. 이것은 훗날 슈베르트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상징으로 해석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3 과학_서캐디안 리듬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3 과학_서캐디안 리듬
193 과학_서캐디안 리듬모든 생명체에는 생체시계가 내장되어 있다. 그 시계에 의해 각성과 수면, 신진대사, 심장 박동, 혈압, 체온이 조절된다. 우리의 생물적 기능은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하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2 미술_휘슬러의 어머니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2 미술_휘슬러의 어머니
192 미술_휘슬러의 어머니라고만 알려진 제임스 맥닐 휘슬러의 유명한 초상화는 어머니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그림이 되었다. 휘슬러(1834년-1903년)는 미국 매사추세츠 로웰에서 태어났다. 어렸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7 역사_아일랜드의 감자 기근 (4) | 2025.03.03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6 종교_조셉 스미스와 모르몬교 (9) | 2025.03.02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4 음악_프란츠 슈베르트 (14) | 2025.02.27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3 과학_서캐디안 리듬 (8) | 2025.02.2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92 미술_휘슬러의 어머니 (11)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