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12 문학_헨리 제임스

by 사랑반어린이 2025. 4. 4.
반응형

 

 

212 문학_헨리 제임스

19세기 후반 미국이 유럽에 대적하는 세계 강대국으로서 자리매김하면서 대서양을 사이에 둔 양쪽 대륙의 작가들은 구대륙과 신대륙 사이 불가피한 출돌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를 가장 통찰력 있게 그린 작가는 헨리 제임스(1843년-1916년)이다.

 

 

원래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영국으로 귀화한 제임스는 타국에 살면서 경험한 것을 글로 담아냈다. 그는 미국 뉴욕의 학자 집안에 태어났다. 그와 같은 이름이었던 아버지 제임스는 가족이 로드아일랜드 뉴포트에 정착할 때까지 여러 시기에 걸쳐 런던, 파리, 제네바에서 살면서 그야말로 세계를 내 집같이 넘나들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전업작가로 전향하기 전 하버드 법대를 다녔고, 그 시기에도 간단한 이야기나 서평을 썼다. 20~30대에는 글 쓰는 데 도움이 되리라 믿으며 유럽 곳곳으로 여향을 다녔다.

헨리 제임스

 

제임스의 첫 주요 작품 《미국인》(1877년)은 그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자신만만하고 순진한 신대륙과 도회적이고 타락한 구대륙 간의 갈등을 그린다. 이 소설 속 신흥부자가 된 미국인 사업가는 그의 거만한 태도와 프랑스 귀족의 모함 때문에 어려운 상황에 깊이 말려들게 되고 불가피하게 엄청난 불행을 겪는다. 《데이지 밀러》(1879년)에서도 고집 센 젊은 미국 여성이 유럽에 거주하는 미국인 상류 사회의 관습을 무시하다가 결국 비극을 맞이한다. 《여인의 초상》(1881년)은 미국인 상속녀가 유럽에서 같은 미국인 남편에게 이용당하며 희생물이 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데이지 밀러

 

제임스는 미국을 떠나 유럽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습관을 예리한 눈으로 관찰하는 통찰력뿐만 아니라 대단한 문장 솜씨도 가지고 있었다. 초기 작품에서부터 길고 뒤틀린 문장을 선호하는 것이 나타났는데 《대사들》(1903년)과 같은 후기 소설에서는 그 특징이 더욱 뚜렷해졌다. 제임스의 작품들은 모두 세세한 것에 대단한 관심을 보인다. 그는 등장인물의 심리적 동기와 개인 간 힘의 역학 관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이런 점에 비추어 그의 소설들이 비록 19세기 사실주의 전통에 속하는 것은 맞지만 제임스는 20세기 심리 소설의 선구자라 말할 수 있다.

여인의 초상

 

제임스는 《프랑스에서늬 소소한 여행》(1884년), 《영국에서의 시간》(1905년), 《이탈리아에서의 시간》(1909년) 등 기행문 모음집들도 출간했다.

 

유럽에서 수십 년을 생활한 제임스는 1915년 드디어 영국 시민이 되기로 결심했고 그 다음 해 런던에서 눈감았다.

 

머천트 아이보리 프로덕션 영화사는 <유럽인들>(1979년), <보스턴 사람들>(1984년), <황금 주발>(2000년) 등 제임스의 소설을 각색해 성공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11 역사_앤드류 잭슨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11 역사_앤드류 잭슨

211 역사_앤드류 잭슨앤드류 잭슨(1767년-1845년)은 1829년부터 1837년까지 제임한 미국 제7대 대통령이다. 당시 그는 대통령 직에 오른 가장 이례적인 인물이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태어난 잭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10 종교_코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10 종교_코란

210 종교_코란코란은 이슬람교의 경전으오 신이 인간에게 내린 마지막 계시라고 여긴다. 이슬람교에서 알라라 불리는 신이 천사 가브리엘에게 전달한 것이 예언자 무함마드(570년-632년)에게 전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9 철학_귀납법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9 철학_귀납법

209 철학_귀납법 과거에 그래왔던 것을 가지고 항상 그렇다거나 앞으로 그럴 것이라는 결론을 끌어내는 추론을 할 때 우리는 귀납적 추론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과거에 해가 항상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