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 과학_에라토스테네스
고대 그리스의 과학자들은 세상이 둥글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들 중 누구도 세상이 얼마나 큰지 알지 못했다. 그러던 중 기원전 3세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 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76-194년)가 지구의 크기를 측정하는 기발한 방법을 고안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이집트의 도시 시에네 인근에 있는 특별한 우물을 알고 있었다. 일 년 중 하루가 가장 긴 하짓날(6월 21일) 정오가 되면 햇빛이 우물의 바닥까지 내리비추었다. 즉 태양이 머리 바로 위에 위치한다는 말이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시에네에서 태양이 머리 바로 이레 온다면 정북에 위치한 알렉산드리아에서는 햇빛이 비스듬히 비쳐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이때 햇빛이 비치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지구의 크기를 추정하기에 필요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막대기를 준비하고 6월 21일 정오에 알렉산드리아에서 막대기 그림자를 이용해 각도를 쟀다.
에라토스테네스는 그림자 각도가 두 도시를 지구의 중심과 연결했을 때 생기는 각도와 같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구 도시 사이의 거리를 알아내기 위해 그 각도를 원의 각도를 나타내는 360으로 나누었다. 계싼 결과 50분의 1이었다. 이것은 시에네와 알렉산드리아 사이를 50회 반복한다면 지구 한 바퀴를 걷는 것과 같다는 결론이다.
이제 남은 것은 두 도시 사이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는 것뿐이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정확하게 일정한 보폭으로 걷도록 훈련받은 전문 보행자를 고용했다. 보행자로부터 얻은 측정치를 이용해 지구 둘레가 대략 2만 4700마일(약 39.751km)이라고 추정했다. 2000년 전 에라토스테네스가 개발한 원리를 사용한 현대식 도구로 적도를 따라 지구 둘레를 측정한 결과 2만 4902마일(약 40,076km)이었다.
에라토스테네스가 살던 시대에 사람들에게 알려진 세상은 스페인에서 인도까지 뻗어 있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세상의 나머지는 광대한 대양으로 덮여 있다고 믿었다. 그는 성난 파도가 일지 않는다면 스페일에서 출발해 서쪽으로 항해를 계속했을 때 인도까지 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와 같은 생각에 힘입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492년 그 유명한 항해를 시작한 것이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역사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려고 본격적으로 시도한 최초의 역사학자이다. 오늘날 고대 역사의 대부분은 에라토스테네스가 기록한 날짜를 사용하고 있다.
위도, 경도, 음계, 소수 등 오늘날 사용하는 많은 개념들이 에라토스테네스가 고안한 것들이다.
에라토스테네스 시대의 다른 과학자들은 그를 이류라는 의미로 베타 Beta라 불렀다. 에라토스테네스의 관심사가 매우 많았기 때문에 그가 재미삼아 이것저것 해본다고 생각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2024.08.25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이집트 미술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네페르티티 흉상은 석회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1912년 독일 고고학자 루트비히 보르하르트가 지금의 이집트 텔엘 아마
children422.tistory.com
2024.08.24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20세기 주요 미국 작가 가운데 어니스트 헤밍웨이(1899년-1961년)만큼 영향력 있는 데다 많은 사람의 추종을 받으며 동시에 비난을 많이 받은 작가도 없다. 헤밍웨이는
children422.tistory.com
2024.08.23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8 역사_함무라비 법전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8 역사_함무라비 법전
008 역사_함무라비 법전함무라비는 오늘날의 이란에 세워진 고대 바빌로니아의 왕이다. 기원전 1792년부터 기원전 1750년까지 바빌로니아를 통치했고 여러 경쟁 국가를 정복했다. 하지만 역사 최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3 철학_소크라테스 (40) | 2024.08.28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2 음악_멜로디 (43) | 2024.08.27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37) | 2024.08.2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50) | 2024.08.24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8 역사_함무라비 법전 (44)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