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 문학_모비딕
허먼 멜빌(1819년-1891년)의 1851년 소설 《모비딕》은 미국 문학의 걸작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모비딕》은 미국 문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지만 작품 자체는 혹평을 받았다. 소설 속 화자 이슈마엘은 중년의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포경선 선원이 되기로 결심한다. 그는 포경 산업의 중심지 매사추세츠 뉴베드포드로 가서 포경선 피쿼드호에서 일자리를 얻는다. 이슈마엘은 수수께끼 같은 에이 해브 선장이 모비딕이라 불리는, 사납기로 악명 높은 흰색 향유고래에게 한쪽 다리를 잃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피쿼드호가 먼 바다로 나갈 때만 에이 해브는 갑판 위에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항해의 복적은 오직 광대한 바다 어딘가에 있는 모비딕(백경)을 끝까지 추적해서 죽이는 것이라 말한다. 에이 해브의 집착으로 비쿼드호는 수천 마일을 항해하며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동남아시아를 향해 이동한다. 수없이 불길한 징조 속에서도 에이 해브는 흔들림 없이 광적으로 복수의 대상을 추적하며 성경을 앒듯 선언한다.
"모든 것을 파괴하지만 무엇에고 정복당하지 않는 너, 고래여. 나는 너를 향해 달려 가고, 마지막까지 너와 싸울 것이다. 지옥의 한복판에서 너를 찌르고, 증오심으로 가득 찬 내 마지막 입김을 너에게 뱉어주마."
드디어 피쿼드호는 태평양에서 모비딕을 발견한다. 끈질기게 이어진 사투로 인해 배가 파괴되고 에이 해브는 죽는다. 그리고 이슈마엘을 제외한 선원 모두 바닷속 깊이 끌려 들어간다.
《모비딕》은 성경, 운명, 광활한 바다 위의 고독 등 무수히 많은 주제에 대한 철학적 사색을 담고 있다. 거대한 흰색 고래는 불가사의한 문학적 상징이다. 이 고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었다. 에이 해브는 세상의 온갖 악이 수현된 것이 모비딕이라 보고, 그 악에 맞서 싸워 물리치는 것이 그의 존재 의무라고 믿는다.
이슈마엘은 고래를 부분으로 나눠 조금씩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고래의 머리, 주둥이, 꼬리 등등을 별도로 한 챕터씩 할애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슈마엘은 이 피조물이 지닌 엄청나고 불가해한 성질을 인간의 지성으로도, 글로도 표현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이 점에서 비추어 어떤 비평가들은 모비딕이 신을 나타내며 이 소설은 통제할 수 없는 것을 통제하려 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하려 한다는 오만한 인간에게 닥치는 피할 수 없는 운명을 상기시켜 준다고 주장한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6 역사_프랑스 혁명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6 역사_프랑스 혁명
176 역사_프랑스 혁명프랑스 군주제는 1798년 무너지기 전까지 부패와 탐욕으로 점점 짙게 얼룩지면서 하층 계급과 중산층을 분노하게 했다. 소작농은 굶주리는데 귀족들은 호화로운 생활을 했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75 종교_동방정교회동방정교회는 1054년에 일어난 동서 교회 분열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기독교 교회는 오랫동안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콘스칸티노폴리스, 예루살렘 그리고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4 철학_자유주의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4 철학_자유주의
174 철학_자유주의자유주의는 개인의 가치와 평등과 자유를 강조하는 정치 철학 정통이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기술하기보다 어떠해야 하는지를 기술하는 규범적 이론으로서 어떤 종류의 정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9 과학_줄기세포 (15) | 2025.02.10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8 미술_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29) | 2025.02.09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6 역사_프랑스 혁명 (14) | 2025.02.07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2) | 2025.02.06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4 철학_자유주의 (12)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