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 역사_프랑스 혁명
프랑스 군주제는 1798년 무너지기 전까지 부패와 탐욕으로 점점 짙게 얼룩지면서 하층 계급과 중산층을 분노하게 했다. 소작농은 굶주리는데 귀족들은 호화로운 생활을 했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시녀들이 먹을 빵이 없다는 말을 듣고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된다."라고 한 것으로 유명하다.
프랑스 혁명은 1789년 7월 14일 정치범들을 석방시키기 위해 파리 중심지에 있는 무서운 바스티유 감옥을 급습하면서 시작되었다. 혁명세력은 프랑스 사회를 급진적으로 바꾸고 싶었고 폭력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들은 자유, 평등, 박애라는 계몽사상에 자극을 받아 세습적 군주제를 전복시키고 교회늬 권력을 부수려고 했다. 그뿐만 아니라 보다 합리적인 체계의 달력을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혁명은 폭력의 수렁에 빠졌고 정치적 혼돈 상태가 되었다. 단 몇 년 사이에 수천 명이 단두대에서 목기 잘려 나갔다. 계몽된 프랑스 혁명 지도자들은 참수형이 덜 고통스럽고 더 현대적인 사형 집행 방법이라 믿었다. 4미터 높이의 묽은 피로 물든 단두대는 파리 한복판 광장에 설치되어 있었다. 파리의 하프시코드 제작자가 960프랑에 급조한 장치였다.
단두대에서 죽은 사람 대부분은 범죄자가 아닌 단지 새로운 정부 체제에 반대하는 정치사범이었다. 1793년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를 포함해 수천 명이 루이 16세의 폐위 이후 이어진 공포정치 속에 목숨을 잃었다.
유럽에서 가장 강력하고 존경받는 군주제가 급진적인 민중에 의해 전복된 이 사건은 유럽 대륙 전체에 그야말로 큰 충격이었다. 정대군구제의 시대가 끝난 것이었다.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기 전에는 귀족들만 참수형에 처해지는 특권을 가지고 있었다. 평민들은 교수형에 처해졌다.
영국 사상가 에드먼드 버크(1792년-1797년)는 프랑스 왕정이 아무리 부패했더라도 프랑스혁명을 정당화하기에는 피비린내가 너무 진동한다고 말했다. 그의 논저 《프랑스혁명에 대한 고찰》은 근대 보수주의의 밑바탕이 된 문헌 중 하나다.
프랑스 국가"라 마르세예즈(마르세유의 노래)"는 마르세유 출신의 혁명정부 장교가 1792년에 쓴 것이다. 피에 굶주린 듯한 가사는 프랑스 국민에게 "그들의 더러운 피가 우리의 밭고랑을 적시게 할 것"을 요구한다. 이런 가사임에도 불구하고 비틀즈는 1967년 발표한 노래 <All You Need is Love>의 처음 몇 소절에 프랑스 국가를 사용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75 종교_동방정교회동방정교회는 1054년에 일어난 동서 교회 분열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기독교 교회는 오랫동안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콘스칸티노폴리스, 예루살렘 그리고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4 철학_자유주의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4 철학_자유주의
174 철학_자유주의자유주의는 개인의 가치와 평등과 자유를 강조하는 정치 철학 정통이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기술하기보다 어떠해야 하는지를 기술하는 규범적 이론으로서 어떤 종류의 정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3 음악_루트비히 판 베토벤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3 음악_루트비히 판 베토벤
173 음악_루트비히 판 베토벤역사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년-1827년)을 여러 모습으로 평가한다.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의 다리였고 극심한 고통에 시달린 천재였으며, 때로는 모든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8 미술_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29) | 2025.02.09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7 문학_모비딕 (10) | 2025.02.08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2) | 2025.02.06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4 철학_자유주의 (12) | 2025.02.0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3 음악_루트비히 판 베토벤 (14)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