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8 미술_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by 사랑반어린이 2025. 2. 9.
반응형

 

 

178 미술_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1775년-1851년)는 가장 위대한 영국 낭만주의 ㅘ가로 인상적인 풍경화와 자연의 힘을 묘사한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터너는 지금의 런던에 편입된 첼시에서 태어났다. 이발사였던 아버지는 아들의 예술적 성향을 일찍 알아차렸다.  1789년 14세의 나이로 터너는 명성 있는 영국왕립미술원에 들어갔다.  1790년대 내내 주로 수채화를 그렸고, 1796년에 첫 유화 <바다의 어부들>을 발표했다.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터너는 1804년에는 런던 할리가에 개인 화랑을 열었다. 하지만 계속해서 왕립미술원에 몸담았고, 1808년부터 1837년까지 거의 30년 동안 그곳에서 원근법을 가르쳤다.

 

그는 평생 동안 영국의 여러 지방뿐만 아니라 외국의 많은 곳을 여행했다. 웨일즈, 요크셔, 호수 지방을 방문한 후에 스위스로 갔고, 그다음에는 프랑스로 건너가 1802년부터 1803년까지 머물면서 루브르 박물관에서 그림을 공부했다. 여행하는 동안 티치아노, 카날레토, 클로드 오맹 같은 여러 대가들의 화풍으로 그리는 법을 배웠다.

 

그 후 1819년에 이탈리아를 여행했는데, 그때 경험이 그의 빛과 색 사용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1822년 무렵 터너는 영국 내에서 확고한 명성을 쌓았고, 조지 4세로부터 <트라팔가르 해전>을 그려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트라팔가르 해전
<트라팔가르 해전>

 

터너는 자연을 노래한 영국 낭만주의 시에 영감을 받아 경외감과 공포감을 동시에 일으키는 자연을 화폭에 담았다. 그림에 시구나 직접 쓴 글을 적는 경우도 많았다. 그뿐만 아니라 바이런과 월터 스콧, 새뮤얼 로저스의 시에 시화도 그렸다.

 

터너는 왕립미술원에서 미술을 가르쳤지만 생전에 널리 존경받는 화가는 아니었다. 그는 미술에서 허용 가능한 것의 경계를 확장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다가 확고한 지지자가 되어준 미술 비평가 존 러스킨을 만난다. 러스킨은 1843년 풍경화에 대한 유명한 저서 《현대의 화가들》에서 터너를 옹호했다.

 

오늘날 터너는 인상주의와 추상적 표현주의 같은 근대적 미술운동의 중요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런던 데이트 박물관 특별관에는 그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1984년에는 훌륭한 업적을 쌓은 현대 미술가에게 수여되는 터너상이 설립되었다.

노예선
<노예선>

1840년 터너는 많은 학자들이 그의 최고작으로 꼽는 <노예선>을 그렸다. 토머스 클락슨이 저술한 《노예 무예 폐지 역사》(1808년)에 기록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그린 작품이다. 배에 탑승한 채로 죽은 노예에 대해서는 배상을 받지 못하지만 바다에서 목숨을 잃은 노예에 대해서는 배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선장이 병들고 죽어가는 노예들을 바다에 던진 사건이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7 문학_모비딕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7 문학_모비딕

177 문학_모비딕허먼 멜빌(1819년-1891년)의 1851년 소설 《모비딕》은 미국 문학의 걸작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모비딕》은 미국 문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지만 작품 자체는 혹평을 받았다. 소설 속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6 역사_프랑스 혁명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6 역사_프랑스 혁명

176 역사_프랑스 혁명프랑스 군주제는 1798년 무너지기 전까지 부패와 탐욕으로 점점 짙게 얼룩지면서 하층 계급과 중산층을 분노하게 했다. 소작농은 굶주리는데 귀족들은 호화로운 생활을 했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75 종교_동방정교회

175 종교_동방정교회동방정교회는 1054년에 일어난 동서 교회 분열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기독교 교회는 오랫동안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콘스칸티노폴리스, 예루살렘 그리고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