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6 미술_폴 세잔

by 사랑반어린이 2025. 3. 20.
반응형

 

 

206 미술_폴 세잔

폴 세잔(1839년-1906년)은 후기인상주의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세잔의 풍경화와 정물화는 20세기 초 입체파와 야수파가 탄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의 부유한 집에 태어난 세잔은 처음에는 고향 근처에서 법률을 공부했다. 그때 소설가 에밀 졸라를 처음으로 만나 친분을 쌓았다. 1861년 화가가 되기 위해 법률 공부를 포기하고 파리로 건너갔지만 에콜 데 보자르 미술학교에 합격하지 못했다. 대신 아카데미 쉬스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곳에서 그의 작품에 평생 영향을 비치게 되는 카미유 피사로를 만났다. 1874년 세잔은 인상파 화가들의 첫 단독 전시회에 참여했다. 그 전시회에 출품한 작품이 <모던 올랭피아>이다. 한 매정한 비평가는 그의 작품을 "억제되지 않은 로맨틱한"작품이라고 비판했다.

 

폴 세잔

 

세잔은 그 후로 두 차례 더 인상주의 화가들과 함께 전시했고 정식 살롱에 그림을 보냈지만 모두 거절당했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형식과 구조를 무시하는 것에 비판적이었던 세잔은 친구에게 "인상주의로 무엇인가 유효하고 지속적인 것을 만들고 싶다. 박물관에 전시된 작품처럼 말이야."라는 편지를 써서 보냈다. 그래서 나중에 후기 인상주의로 분류되는 그만의 스타일을 개발했다. 세잔은 현실을 보다 가깝게 표현하기 위해 형식을 단순화하고 뒤틀린 원근법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과일 그릇과 유리잔, 사과가 있는 정물>(1879년-1882년)에서 세잔은 과일 그릇의 굽이 마치 과일의 무게 중심을 잡고 있는 것처럼 가운데에서 살짝 빗겨 나가게 그렸다.

과일그릇과 유리잔, 사과가 있는 정물

 

1882년 세잔을 다시 엑상프로방스 집으로 돌아갔다. 그의 후기 작품은 주제를 축소시키고 그 대신 순수한 형태에 집중했다. 그는 추상적 그림을 추구하면서 편지에 이렇게 언급했다. "자연 속에서 원기둥과 구와 원추를 볼 때는 물체의 모든 면이나 평면의 모든 면이 하나의 중심점으로 모아지도록 봐야 한다." 1900년 이후로 세잔은 생트빅투아르산 경치를 여러 점 그렸다. 풍경에 대한 객관적 사실보다 풍경에서 느껴지는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벌의 물감을 사용하고 관점을 바꿔 그렸다. 1906년 세잔이 세상을 떠났을 때 파블로 피카소는 입체파 미술의 걸작이라 불리는 <아비뇽의 처녀들>(1907년)을 이미 그리고 있었다. 이 그림의 구도는 세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886년 프랑스 일간지 <르 피가로>에 에밀 졸라가 세잔을 실패한 예술 천재라고 묘사하자 세잔은 에밀 졸라와 절교했다.

 

피카소는 세잔을 "우리 모두의 아버지"라고 불렀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5 문학_찰스 디킨스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5 문학_찰스 디킨스

205 문학_찰스 디킨스생산성과 명성 면에서 찰스 디킨스(1812년-1870년)에 견줄 수 있는 소설가는 아마 없을 것이다. 그의 방대한 작품 목록은 15권 이상의 소설과 무수히 많은 기사와 사설로 구성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4 역사_식민지 건설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4 역사_식민지 건설

204 역사_식민지 건설스페인이 아메리카 신대륙에 식민지를 건설한 것은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항해로 시작되었다. 그 후 한 세기가 지나 영국인 상인과 종교 난민들이 신대륙에 도착했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3 종교_무함마드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203 종교_무함마드

203 종교_무함마드무함마드(570년-632년) 이슬람교도들이 말하는 신이 지상에 보낸 마지막 예언자이다. 모든 아랍인과 마찬가지로 무함마드의 조상도 아브라함의 첫째 아들 이스마엘까지 거슬러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