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 내 아이에게 가져다 주는 것
우리는 보통 요리를 시작할 때 다양한 식재료를 앞에 두고 먹음직스러운 결과물을 먼저 상상한다. 그리고 과정 하나하나를 차례대로 머릿속에 그린다. 교육도 마찬가지다. 교육을 하기에 앞서 교육에 대한 정의와 과정, 결과를 생각해봐야 한다.
"교육이 인간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은 뭘까?"
위대한 교육을 받아 위대한 삶을 살았던 많은 사람은 입을 모아 이렇게 말한다.
"자제력이다."
자제력은 자기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며 살아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는 데 급급하기보다는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게 한다. 자녀교육의 선구자 루소Jean Jacques Rousseau도 이렇게 말했다.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슬픈 일이든
그것을 잘 견뎌낼 줄 아는 사람이야말로
가장 훌륭한 교육을 받은 사람이다."
그리고 자제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했다. "진짜 교육은 지시가 아니라 실천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제대로 된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오직 한 사람의 선생만이 필요하다. 바로 아이의 부모인 당신이다." 그의 말처럼 자제력 교육은 일단 부모가 먼저 삶으로 보여줘야 한다. 자기 삶도 제어하지 못하는 사람이 어찌 자식에게 '네 삶을 제어하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요즘 아이들은 살에 굉장히 민감하다. 술과 담배도 마찬가지다. 너무 과하게 그것을 즐기는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나는 나중에 어른이 돼도 과식하지 않고, 술이랑 담배는 쳐다보지도 않을 거야."라고 말하며 그것을 즐기는 부모를 은근히 비난한다. 부모가 먼저 그것들을 정복해야 한다. 아이에게 자기 삶을 제어할 수 있는 멋진 부모로 보이고 싶다면 이전과는 다른 선택을 해야 한다. '텔레비전 시청, 군것질, 폭식, 흡연, 막말, 분노, 비도덕적인 행동과 험담.'이 모든 항목을 제어하려면 엄청난 자제력을 필요로 한다. 시대를 이끌었던 정신적인 스승과 거장은 거의 모두가 위에 나열한 것들을 극도로 자제했다. 그들이 자제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 세 가지 수칙을 지켰기 때문이다.
1. 금지한 것을 의식적으로 멀리하지 않고 곁에 둔다.
무엇이든 베어할 수 있는 사람은 거리에 상관하지 않는다. 보통 다이어트나 금연, 금주 등을 결심하면 음식과 담배, 술을 되도록 멀리 둔다. 집에 있던 술과 담배는 아예 쓰레기통에 버리기도 한다. 만약 정신적 스승과 거장이 지금 당신 곁에 있다면 이렇게 충고할 것이다.
"금연을 결심하고 일주일 내내 술 약속을 잡아라."
사실 흡연자에게 음주는 독약이다. 하지만 진짜 금연에 성공하고 싶다면 음주를 하면서도 가능하다는 믿음을 자기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옆에서 아무리 담배를 권유해도, 술에 취해 자제력을 잃어도 참을 수 있어야 한다. 다이어트 마찬가지이다. 굳이 음식을 멍이 두지 마라. 늘 있던 그 자리에 두되 먹지 않는다. 그게 바로 유혹과의 전쟁에서 이기는 방법이다. 어차피 밖으로 나가면 널린 게 음식이고 담배다. 집에서 견딜 수 있어야 밖에서도 유혹에 빠지지 않고 자제할 수 있다.
2. 일희일비하지 않는다.
순간순간 닥쳐오는 상황에 따라 감정의 기복이 굉장히 심한 사람이 있다. 미친 사람처럼 기뻐했다가 갑자기 슬퍼했다가 도 다시 기뻐하며 웃는다. 이런 사람은 자제력을 키우기 어렵다. 자기감정조차 자제를 못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다이어트를 결심했다가 한순간 제어하지 못하고 폭식을 하게 되면 "에이, 그냥 다 먹어버리자"라고 외치며 아예 다이어트 자체를 포기한다. 우리는 '나는 내 마음에 질 수 있다.'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마음의 시중을 드는 일은 굉장히 불행하지만, 가끔 그렇게 될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겨둬야 한다. 그러면 마음이 편해진다.
3. 내 삶을 완성하는 모든 힘은 자제력에 있다.
강력한 자제력을 가졌다는 것은 내 몸과 마음의 주인이 된다는 의미다. 그래서 자제력을 기른다는 것은 일종의 가능성을 키우는 일이다. 세상의 모든 일을 자제력만으로 이룰 수는 없지만, 자제력 없이 이뤄진 일은 없다. 우리는 자제력으로 내 삶에 찍힌 '불가능이라는 낙인'을 지우고, 삶의 모든 곳에 '가능성이라는 도장'을 찍을 수 있다. 힘들 때마다 자기에게 이렇게 말하라.
"나는 자제력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선을 긍정적으로 바꿔나가고, 거짓된 삶에서 벗어나 진실한 삶을 살게 될 것이다."
내가 나를 자제하지 못하면 세상이 나를 제어한다. 폭식과 폭음을 하면 의사가,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면 법이, 막말을 하면 평판이 나를 제어한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힘들 때마다 당신을 바라보는 사랑스러운 아이의 얼굴을 떠올려라.
사실 모든 것을 적당히 즐기며 사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정기적으로 다이어트를 하고, 금연과 금주를 걱정하기보다는 평소에 적당한 수준에서 자신을 제어하는 게 가장 현명한 사람의 모습이다.
의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콜라, 소시지, 피자, 햄버거 등 세상이 좋은 식품이 아니라고 규정한 것들을 아이에게 먹이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모가 많다. 그런데 사실 이런 극단적인 원칙을 아이의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건 나쁜 식품이고 저건 좋은 식품이야.'라는 잣대는 너무 폭려적이기 때문이다.
완전하게 나쁜 사람도 없고, 완전히 좋은 사람도 없는 것처럼 식품도 마찬가지다. 그걸 즐기는 나름의 이유가 있고, 때에 따라서는 어떤 음식과 가장 균형이 맞는 좋은 파트너가 되어주기도 한다. 아예 금지하고 나쁘다고 말하기보다는 적당하게 즐기도록 교육하는 게 좋다.
절대, 욕망에 지지마라.
우리는 욕망을 자제하면서,
더욱 순수한 영혼을 가지게 된다.
모든 욕망을 누르고 나는 제어하는 순간,
세상에서 가장 멋진 하루가 시작된다.
[아이생활백서] - 도덕가로 키우는 톨스토이의 네 가지 가르침
도덕가로 키우는 톨스토이의 네 가지 가르침
가장 도덕적인 아이가 가장 위대한 아이다인간과 가장 유사한 유전자 정보를 가진 동물은 침팬지다. 유전자가 98.4퍼센트 동일하지만 1.6퍼센트의 차이 때문에 침팬지는 인간과 다른 삶을 살
children422.tistory.com
[아이생활백서] - '생각의 틀'을 바꿀 수 있는 일상의 질문 습관
'생각의 틀'을 바꿀 수 있는 일상의 질문 습관
일상의 질문 습관"우리 아이는 제 말을 안 들어요.""어떤 방법으로 아이 행동을 바꿀 수 있나요?" 아이의 행동 때문에 고민하는 부모가 많다.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고 싶고, 만화책보다는 글이
children422.tistory.com
[아이생활백서] - 유아 성장통, 만3세 아이에게 시작된 성장통 증상과 대처하는 방법
유아 성장통, 만3세 아이에게 시작된 성장통 증상과 대처하는 방법
성장통이란성장통이란 주로 어린이부터 청소년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신체적 통증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3세에서 12세 사이의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저녁이나 밤
children422.tistory.com
'아이생활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습관] 10대에게 꼭 필요한 마인드 습관 (27) | 2025.01.25 |
---|---|
[인문학] 기품 있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 (38) | 2025.01.21 |
도덕가로 키우는 톨스토이의 네 가지 가르침 (56) | 2025.01.04 |
'생각의 틀'을 바꿀 수 있는 일상의 질문 습관 (20) | 2024.12.30 |
유아 성장통, 만3세 아이에게 시작된 성장통 증상과 대처하는 방법 (50)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