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3 철학_소크라테스

by 사랑반어린이 2024. 8. 28.
반응형

 
 
 

013 철학_소크라테스

서양 철학의 아버지라 여겨지는 소크라테스(기원전 470-399년)는 단 한 권의 책도 쓰지 않았다. 우리는 다른 사람이 쓴 글에 관한 글을 통해 산접적으로만 그를 알고 있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아테네에서 태어난 소크라테스는 아테네가 치른 여러 전쟁 중에서 한 전쟁에 참전해 병사로서 두각을 나타냈고, 그 후 아테네 사회에서 흥미로운 인물이 되었다. 그는 누구든 상관없이 만나는 사람을 붙잡고 대화를 나눴다. 그리스 전역을 여행하며 젊은이들에게 돈을 받고 소사법과 정치적 기술을 가르치는 소피스트들과 달리 소크라테스는 돈을 받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그는 아무것도 가르칠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자신은 실질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만약 그가 다른 사람보다 현명하다면 그것은 오직 자기가 무지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우리가 소크라테스에 대해 알고있는 대부분은 그의 훌륭한 제자 플라톤(기원전 427-347년) 에게서 얻은 것이다. 학자들은 플라톤의 대화편 초반부가 역사적 인물인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다고 말한다. 대화편의 전형적 구조는 소크라테스가 정의의 본질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주장하는 이웃 아테네인과 만나 대화하고, 대화를 통해 그 이웃이 스스로 알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을 사실 전혀 모르고 있음을 증명하는 형식이다.
 
기원전 399년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젊은이들이 타락하도록 가르치고 있다는 죄목으로 재판부에 회부되었다. 플라톤의 대화편 중 《소크라테스의 변론》 에 실린 기록에 따르면 소크라테스는 재판에서 "반성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그는 자신의 무죄를 주장했지만 결국 유죄 판결을 받고 독미나리에서 추출한 독약을 마시는 사형에 처해졌다. 소크라테스가 친구와 제자들과 함께 철학에 대해 논의하며 생애 마지막 순간을 보내는 모습은 플라톤의 대화편 중 《파이돈》에 감동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지금도 많은 법률대학원에서 교수들이 사용하고 있는 소크라테스 문답법은 소크라테스가 제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질문을 하던 방식에서 기원했다.

 

소크라테스와 동시대를 살았던 많은 이들이 그가 얼마나 못생겼는지 언급했다.

 

고대 그리스의 희극 시인 아리스토파네스(기원전 448-380년)는 희곡 《구름》 에서 소크라테스에 대해 풍자한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2024.08.27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2 음악_멜로디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2 음악_멜로디

012 음악_멜로디멜로디는 일반적으로 선율이라고도 일컫어지며 음악에서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화음에 리듬과 더불어 음악의 3대 기본 요소인 멜로디는 한 가지 악기

children422.tistory.com

2024.08.26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1 과학_에라토스테네스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1 과학_에라토스테네스

011 과학_에라토스테네스고대 그리스의 과학자들은 세상이 둥글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들 중 누구도 세상이 얼마나 큰지 알지 못했다. 그러던 중 기원전 3세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 에라

children422.tistory.com

2024.08.25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이집트 미술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네페르티티 흉상은 석회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1912년 독일 고고학자 루트비히 보르하르트가 지금의 이집트 텔엘 아마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