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2 음악_멜로디
멜로디는 일반적으로 선율이라고도 일컫어지며 음악에서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화음에 리듬과 더불어 음악의 3대 기본 요소인 멜로디는 한 가지 악기나 여러 악기로 연주할 수 있다. 멜로디는 음악적인 소리를 낼 수 있는 순서로 음이 연속적으로 배열한 것을 말한다. 멜로디를 이루는 음들은 일종의 통일성을 이루거나 서로 밀접하게 묶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멜로디는 여러 음이 연달아 연주되지만 한꺼번에 들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화음과 구별된다.
시간이 흐르면서 멜로디의 의미가 확장되어 익숙하지 않아서 모험적으로 들리거나 심지어 귀에 거슬릴 수 있는 연속된 음까지 멜로디에 포함되었다. 모차르트, 슈베르트, 시벨리우스는 멜로디를 만드는 천재로 자주 언급된다. 반면에 스트라빈스키 같은 모더니즘 음악가들은 18-19세기 작곡가들이나 오늘날의 일부 청중의 귀에 소음으로 여겨질 수 있는 멜로디를 썼다. 스트라빈스키의 발레곡 <봄의 제전> 에서 시작 부분의 손율은 머릿속에서 쉽게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대개 멜로디는 더 짧은 음악이 단위인 악구로 나뉜다. 악구는 일반적으로 종지 cadence 라 불리는 쉬는 지점에서 끝난다. 멜로디의 전체 구조를 구성하는 악구는 종종 묻고 답하는 긋한 느낌을 준다. 멜로디의 한쪽 부분이서 음악적 아이디어를 제기하면 다른 부분에 그 아이디어에 대답하거나 그것을 완성하는 형식이다. 이때 미완성된 것처럼 들리는 종지로 악구가 끝나면 그 악구를 가리켜 선행구라 한다. 선행구 다음에 오는 악구로서 완벽히 마친 느낌을 주는 종지로 끝나는 악구를 가리켜 후속구라 한다.
중세 시대의 많은 작곡가들은 15세기 프랑스 곡 <무장한 남자(L˙ hommes armé)> 같은 기본 멜로디를 공유하고 작품의 중심 테마로 사용했다.
<작은 별> 처럼 더 현대적인 멜로디도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에는 독창적인 멜로디를 쓰는 재능을 훨씬 더 높이 평가한다.
다양한 악기의 대규모 합주를 위한 멜로디나 곡 전체를 편곡하는 것을 관현악 편곡이라 한다. 관현악 편곡을 전문적으로 하는 음악 교육과정이 있으며, 무엇보다 관현악용으로 편곡하는 능력 때문에 존경받는 작곡가들도 있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2024.08.26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1 과학_에라토스테네스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1 과학_에라토스테네스
011 과학_에라토스테네스고대 그리스의 과학자들은 세상이 둥글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들 중 누구도 세상이 얼마나 큰지 알지 못했다. 그러던 중 기원전 3세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 에라
children422.tistory.com
2024.08.25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이집트 미술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네페르티티 흉상은 석회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1912년 독일 고고학자 루트비히 보르하르트가 지금의 이집트 텔엘 아마
children422.tistory.com
2024.08.24 -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20세기 주요 미국 작가 가운데 어니스트 헤밍웨이(1899년-1961년)만큼 영향력 있는 데다 많은 사람의 추종을 받으며 동시에 비난을 많이 받은 작가도 없다. 헤밍웨이는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4 종교_노아 (31) | 2024.08.29 |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3 철학_소크라테스 (40) | 2024.08.28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1 과학_에라토스테네스 (46) | 2024.08.26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10 미술_네페르티티 흉상 (37) | 2024.08.2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009 문학_어니스트 헤밍웨이 (5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