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5 역사_벤자민 프랭클린

by 사랑반어린이 2025. 1. 17.
반응형

 

 

155 역사_벤자민 프랭클린

18세기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미국인 벤자민 프랭클린(1706년-1790년)은 발명가이자 외교관, 언론인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독립선언문과 미국헌법 최종안 두 문서에 서명한 인물이다. 프랭클린은 청교도가 지배하고 있을 당시 보스턴에서 태어나 장수를 누리고 산업 혁명이 시작되기 직전 필라델피아에서 사망했다.

 

벤자민 프랭클린

 

그는 동시대의 어느 인물보다 신생 국가 미국의 문화와 정치에 많은 기여를 했다. 그뿐만 아니라 전기를 발견하고 프랭클린 난로를 발명했으며 영향력 있는 신문도 발행했다. 당시 그의 명성에 대해 존 애덤스는 "뉴턴이나 프리드리히 2세나 볼태르의 명성보다 더 대단했으며, 이들 모두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존경을 받았다."라고 썼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프랭클린을 가리켜 "최초의 미국인"이라고 했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17세기말 보스턴으로 이주한 양초 제작자 프랭클린의 열다섯째 아들이었다. 12세부터 신문 인쇄업을 하는 형의 일을 도왔는데, 처음에는 인쇄기를 돌리는 일을 맡았지만 곧 신문 기사를 쓰기 시작했다. 프랭클린은 고마워할 줄 모르는 형 밑에서 일하는 것이 싫어지자 17세에 필라델피아로 건너갔다. 그곳에서 신문과 재미있는 책들을 출판했고, 나중에는 필라델피아에서 가장 유명한 시민이 되었다. 

 

무한한 재능과 호기심을 지녔던 프랭클린은 병원과 보험회사, 철학 학회, 대학(지금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을 설립했고, 모두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인쇄업에서 은퇴한 후에는 과학으로 관심을 돌려 전기의 성질을 연구하고 이중초점 렌즈와 열효율이 높은 프랭클린 난로를 발명했다.

 

미국 식민지들이 영국의 지배에 염증을 느끼기 시작한 1750~60년대에 프랭클린은 영국에 머물고 있었다. 그는 영국 의회에서 미국 식민지 주민들의 입장을 대변했다. 런던에서 미국으로 돌아올 때는 영국으로부터 미국 식민지를 분리해야 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1776년 드디어 필라델피아에서 미국 독림선언문이 반포되었다. 그는 신생 국가 미국을 대표로 하는 대사로 프랑스를 방문했다. 프랭클린은 그의 과학적 업적 덕분에 유럽에서 이미 유명인사였다. 많은 유럽인들은 단지 위대한 과학자가 관련되어 있다는 이유만으로 신생 국가를 신뢰했다. 프랭클린은 다시 펜실베이니아로 돌아왔고 계속 국가를 위해 일하다가 84세에 세상을 떠났다.

 

프랭클린의 발명품 중에는 '아모니카'라 알려진, 유리로 만든 악기가 있었다. 19세기 아모니카의 인기가 사라지기 전에 위대한 오스트리아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아모니카 연주곡 두 편을 썼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4 종교_예수의 부활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4 종교_예수의 부활

154 종교_예수의 부활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아리마대의 요셉이 시체를 땅에 묻은 지 3일 후 성모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를 포함한 여러 여성들이 장례식을 치르기 위해 무덤을 찾아갔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3 철학_인식론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3 철학_인식론

153 철학_인식론인식론은 지식을 다루는 철학 분야이다. 인식론의 주요 문제 중 하나는 플라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인식론은 지식이 무엇인지 규명하려고 시도한다. 전통적으로 철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2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2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152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1784년)이 국제적으로 성공하면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프라하 오페라 하우스로부터 또 다른 작곡 의뢰를 받았다. 오페라 대본 작가 로렌조 다폰테와 다시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