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수업365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8 과학_최면

by 사랑반어린이 2025. 1. 20.
반응형

 

 

158 과학_최면

200여년 동안 사람들은 최면을 정의하려 애썼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흉한 팔자수염을 기르고 검정 중산모를 쓴 남자가 눈앞에 회중시계를 추처럼 흔들면서 으스스하고 침착한 목소리로 "이제 당신은 잠에 빠져 듭니다."라고 말하는 모습을 떠올린다. 그리고 몇 분 후 그 남자가 우리의 행동과 생각과 기억을 모두 통제하는 것을 상상한다.

 

최면

 

오늘날 정신과 의사들은 최면이란 제안을 굉장히 쉽게 받아들이는 가수 상태로 이해한다. 그러나 그것은 마음의 통제라기보다 유도된 몽상에 더 가깝다. 흔히 최면에 빠지면 말이나 행동에 아무 제약을 받지 않을 것 같지만 본인의 의지에 반하는 것은 어떤 것도 하려고 하지 않는다. 뇌파기록장치를 통해 살핀 결과, 최면이 일어나는 동안 수면과 꿈에 관련된 저주파 뇌파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완전히 깨어 있는 상태와 연관된 고주파 뇌파는 크게 감소했다. 그러나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이것이 최면이 꿈과 같은 성질을 가지는 이유일 것이다. 그렇다고 최면에 걸린 사람이 꼭두각시처럼 된다는 말은 아니다. 그들은 여전히 스스로 생각한다.

 

최면을 거는 기본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시선 고정 유도법이다. 최면 대상에게 외부세계를 무시하도록 회중시계 같은 하나의 사물에 고도의 집중을 하게 하는 것이다. 초기에 흔하게 실시되던 방법이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단지 이 방법의 성공률이 낮기 대문이다. 둘째 방법은 "일어서. 앉아. 눈 깜빡여. 일어서."와 같이 빠른 명령을 퍼붓는 것이다. 무대 공연자나 심문자들이 선택하는 방법이다. 셋째 방법은 정신과 의사들이 사용하는 점진적 이완 요법이다. 대상자가 최면 상태에 빠져들도록 신장을 이완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의사는 부드러운 목소리로 말하고 평화로운 이미지를 제안해서 대상자가 과식이나 흡연 같은 나쁜 습관을 없애는 법을 터득할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현대 최면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18세기 오스트리아의 의사 프란츠 안톤 메스머는 최면을 신비한 힘이라 믿으면서 '동물 자기(animal magnetism)'라고 불렀다.

 

영어 단어 mesmerism(매료)와 mesmerize(매료시키다)는 메스머(Mesmer)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운전과 텔레비전 시청도 최면의 상태라고 여긴다.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들이 대체로 최면에 걸리기 쉽다.

 

참고자료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7 미술_호쿠사이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7 미술_호쿠사이

157 미술_호쿠사이가쓰시카 호쿠사이(1760년-1849년)는 일본 미술가 중에서 서구 세계에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이다.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호쿠사이는 거울 만드는 사람에게 입양되어 세공 기술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6 문학_포스트식민주의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6 문학_포스트식민주의

156 문학_포스트식민주의포스트식민주의 문학은 이전에 식민지였던 지역 사람들에 관한 작품뿐만 아니라 그 지역 출신 작가가 쓴 작품 모두를 가리킨다. 포스트식민주의 문학은 대부분 아프리

children422.tistory.com

[교양수업365] -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5 역사_벤자민 프랭클린

 

[1일 1페이지, 교양수업365]155 역사_벤자민 프랭클린

155 역사_벤자민 프랭클린18세기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미국인 벤자민 프랭클린(1706년-1790년)은 발명가이자 외교관, 언론인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독립선언문과 미국헌법 최종안 두 문서에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