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소개/아이

[유아그림책-기차는 일탈을 원하는 아이들의 꿈]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by 사랑반어린이 2025. 2. 3.
반응형

 

 

[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상징_기차

아이들은 기차를 참 좋아한다. 특히 남자아이들이 그렇다. 사실 아이뿐 아니라 부모들도 선로를 도는 작은 모형 기차를 보면 마음이 설렌다. 아이들이 기차를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프로이트는 기차가 남성의 성기를 상징하며, 터널은 여성의 성기를 상징한다고 쓴 바 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남자아이들은 기차를 보고 남성성을 확인하며 현실에서 충족하지 못하는 오이디푸스적인 욕망을 기차놀이를 통해 실현한다. 엄마를 사랑하지만, 그랬다가는 무시무시한 아빠의 벌을 받을 수 있기에 놀이라는 안전한 공간에서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는 것으로 만족한다는 것이다. 기차 특유의 모양, 빠른 속도의 중요성, 무언가를 싣고 내린다는 특성을 떠올리면 그의 가설은 그럴듯하게 느껴진다. 

 

 

그러나 오이디푸스적인 욕구가 높아지기 이전인 두 돌 무렵의 아이들도 기차를 좋아한다. 또한 정신적인 발달이 유아기 초기에 정체된 자폐증 아이들 역시 기차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아이들이 기차를 좋아하는 이유를 기차가 지닌 감각적 특성에서 찾는 사람도 있다.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야-우리-기차에서-내려!-존-버닝햄

강아지와 아이가 기차 여행을 떠나는데 여러 동물들이 자꾸 기차에 오른다. 그때마다 아이는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하고 소리친다. 물론 소리만 세게 지를 뿐 마음은 모질지가 못하다. 동물 친구들이 제가끔 사정을 얘기하자 모두 태워주고 만다.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얼마 없는 아이들은 강하게 명령하는 대사를 무척 좋아한다. 꿈에서라도 놀이에서라도 대장 역할을 한번 해 보고 싶기 때문이다. 부모와 함께 읽는 아이들도 그 대사만큼은 자기가 하려 든다. 점점 더 큰 목소리로 대사를 반복하며 아이는 신나 한다. 하지만 상황은 기대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동물 친구들은 하나씩 늘어나고 기차는 가득 찬다. 아이는 긴장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마지막은 해피엔딩이다. 모두 함께 놀 수 있다는 마무리에 아이들은 안심한다.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내용 중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내용 중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내용 중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내용 중

 

아이들이 기차를 좋아하는 데는 심리적인 이유가 중요하다.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아이들에게 기차가 빠르게 달리는 모습은 아주 환상적이다. '나보다 작은 기차가 더 빨리 가다니!' 더 멀리 가 보고 싶고, 더 빨리 움직이고 싶은 아이에게 기차는 유능함의 상징이다. '저렇게 잘 달린다면 엄마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고, 그러다 무서우면 빨리 돌아올 수도 있을 거야.' 두 돌이 되어 일탈을 꿈꾸며 뭔가 다르게 행동하고 싶은 아이에게 기차는 우상이다.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말괄량이-기관차-치치-버지니아-리-버튼

치치는 조그만 역에서 대도시까지 같은 길로 왕복하는 기관차이다. 늘 반복되는 일상, 끌어야 하는 무거운 객차는 치치에게 부담이다. 치치는 자기가 빠르다는 것을 보여 주고 싶고, 혼자서도 잘 달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 그래서 자기를 돌봐 주는 기관사와 차장, 화부 아저씨가 없을 때 냅다 달리기 시작한다. 자기 힘을 과시하며 신나게 달리는 치치는 맘껏 떼를 부리는 아이들과 닮아 있다. 자신은 힘을 과시하는 것이지만 주변 사람들은 모두 놀라고 걱정한다. 한바탕 난리가 났지만 치치는 기분이 좋다. 자신의 소망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늘 그렇듯 위기가 찾아온다. 치치는 길을 잘못 든 데다 너무 빨리 달려 연료마저 떨어져 멈추고 만다. 다행히도 치치는 곧 자기를 데리라 온 기관사와 차장 아저씨를 만난다. 그들은 치치가 말썽을 부린 것을 탓하지 않고 그저 멀쩡하다는 것에 기뻐서 춤을 춘다. 잃어버렸던 아이를 찾아서일까? '건강하게만 자라다오'라는 게 그들의 태도다. 그러자 치치는 스스로 약속한다. 이제 말썽 부리지 않겠다고.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내용 중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내용 중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내용 중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내용 중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내용 중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내용 중

 

일탈하여 자신의 힘을 보여주고 싶은 아이들의 소망, 그 소망이 행복한 결론으로 끝나지 않으면 어쩌나 하는 불안을 다룬다. 아이는 그림책을 읽으며 자신이 치치가  된 듯 열광하고 불안해하며 안도한다. 어른들이 보지 않으면 제멋대로 살아 보고 싶은 아이의 욕구를 보여준다. 반면 탈출한 치치가 신나게 모험을 하고 돌아왔을 때 기꺼이 환영하고 기뻐하는 어른들의 모습은 아이들이 보고 싶어 하는 어른의 모습이다. 

 

 

이 글은 소아정신과 의사 서천석의 《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에서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책소개/아이] - [유아그림책-포근함과 야생성이 공존하는 곰] 난 커다란 털복숭이 곰이다, 곰

 

[유아그림책-포근함과 야생성이 공존하는 곰] 난 커다란 털복숭이 곰이다, 곰

[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상징_곰아이들에게 곰은 특별한 동물이다 실제의 곰은 쉽게 볼 수 없고 사나운 맹수에 가깝지만 아이에게 곰은 꼭 안아 주고 싶고, 폭

children422.tistory.com

[책소개/아이] - [유아그림책-똥은 아이들의 소중한 분신]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강아지똥

 

[유아그림책-똥은 아이들의 소중한 분신]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강아지똥

[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상징_똥아이들은 왜 '똥' 이야기만 해도 자지러질까? 아이들의 웃음을 빨리 자아내야 한다면 필살기가 있다. 동과 방귀와 같은 지저분

children422.tistory.com

[책소개/아이] - [유아그림책-시간과 변화 이해] 우리 엄마야, 바람이 멈출 때

 

[유아그림책-시간과 변화 이해] 우리 엄마야, 바람이 멈출 때

[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 유아 발달_시간과 변화 이해아이는 모든 끝이 힘들다. 새롭게 다가올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채 그것을 잘 이겨 낼 수 있을까 두렵다. 부모는 흔들리지 않는 부

children422.tistory.com

[책소개/아이] - [유아그림책-통념 비틀기와 주체성 확립] 종이 봉지 공주, 프레드릭, 라이카는 말했다

 

[유아그림책-통념 비틀기와 주체성 확립] 종이 봉지 공주, 프레드릭, 라이카는 말했다

[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 유아 발달_통념 비틀기와 주체성 확립행복이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현재를 즐기고 삶을 더 깊게 느낄 수 있어야 행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행복의 자세는

children422.tistory.com

 

반응형